주피터 노트북(Jupyter Notebook)
주피터 노트북은 대표적인 대화형 파이썬 툴이다. 대화형 툴이라는 말은 마치 하굑에서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설명하듯이 프로그래밍과 이에 대한 설명적인 요소를 결합했다는 뜻이다. 전체 프로그램에서 특정 코드 영역별로 개별 수행을 지원하므로 영역별로 코드 이해가 매우 명확하게 설명될 수 있다.
노트북, 즉 '공책'이라는 접미사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학생들이 필기하듯이 중요 코드 단위로 설명을 적고 코드를 수행해 그 결과를 볼 수 있게 만들어서 직관적으로 어떤 코드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매우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지원하다.
홈디렉토리로 간다
머신러닝을 위한 넘파이와 판다스의 중요성
머신러닝 애플리케이션 구현에서 다양한 데이터의 추출/가공/변환이 상당한 영역을 차지하고 데이터 처리 부분은 대부분 넘파이와 판다스의 몫.
사이킷런이 넘파이 기반에서 작성됐기 때문에 넘파이의 기본 프레임워크를 이해하지 못하면 사이킷런 역시 실제 구현에서 많은 벽에 부딪힐 수 있음
사이킷런은 API 구성이 매우 간결하고 직관적이어서 이를 이용한 개발 또한 상대적으로 쉽지만 넘파이와 판다스 API는 더 방대하기 때문에 이를 익히는 데 시간이 많이 소모 될 수 있음. 하지만 머시러닝을 위해서 이들을 많은 시간을 들여 전문적으로 공부하는 것은 효율적이지 못함.
넘파이와 판다스에 대한 기본 프레임워크와 주요 API만 습득하고, 일단 코드와 부딪혀 가면서 모르는 API에 대해서는 인터넷 자료를 통해 체득하는 것이 머신러닝뿐만 아니라 넘파이와 판다스에 관한 이해를 넓히는 더 빠른 방법이다.
'파이썬 머신러닝 완벽 가이드 > 파이썬 기반의 머신러닝과 생태계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넘파이 ndarray (0) | 2022.05.29 |
---|---|
사이킷런 업그레이드, XGBoost와 LightGBM 설치 (0) | 2022.05.19 |
Anaconda 설치 (0) | 2022.05.19 |
파이썬 기반 머신러닝의 특징 및 장점과 구성요소 (0) | 2022.05.19 |
머신러닝의 개념 (0) | 2022.05.17 |